해체기술
해체기술은 방사선 안전관리, 기계, 화학, 제어 등 여러 분야의 지식과 기술이 복합된 종합엔지니어링ㆍ융합기술입니다.
상용화된 일반산업 분야 기술을 접목하여 방사선환경 하에서 최적화된 융합기술을 개발합니다. 고방사성의 극한 환경에서 적용하기 때문에 고도의 제염, 철거기술 및 원격제어기술 등 고난이도의 기술이 필요합니다.
공정 진행에 따른 분류

기술 확보 내역
구분 | 세부 내용(시기) |
---|---|
소규모 원자력 시설 | 연구로 1호기(‘11~‘21 예정), 연구로 2호기(‘01~‘09) 우라늄변환시설(‘04~‘11) |
운영 원전 대형기기 교체 | 증기발생기 교체 : 고리1(‘98), 한울1(‘12), 한울2(‘11), 한울3(‘14), 한울4(‘13) 원자로 압력관 교체 : 월성1(‘08~‘11) 원자로 헤드 교체 : 고리1(‘13), 고리2(‘18), 한빛3(‘15), 한빛4(‘15) |
한수원은 기술개발 로드맵을 수립하여(‘15.12) 2022년까지 원전해체 상용화 기술을 확보할 예정입니다.

컨소시엄교육협력(원전해체전문인력양성)
국가인적자원개발 컨소시엄 사업은 대기업과 사업주단체의 우수한 훈련시설을 사용하여 중소기업 재직자를 위한 직무향상 훈련을 실시하는 사업입니다.
국내 원전해체 사업소개 및 공정, 사용후핵연료 저장 및 운반관리등을 교육합니다
※ 선이수조건 :원전해체기본(2016, 2017년) 이수 or 원전분야 OJT 1주일 이상 or 관련 업계 경력 1년이상 or 중급과정(한수원(주) 컨소시엄) 이수
- 담당업무 원전해체기술
- 담당부서 원전사후 관리처 해체계획부
- 담당자 전수형
- 연락처 054-704-6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