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선ㆍ안전
인쇄 아이콘
주소 복사하기 아이콘
지진 안전성 알아보기

최대 지진해일에 안전 여유도를 더해 건설했습니다

지진해일(쓰나미, tsunami)은 해저에서 발생한 지진, 해저화산, 해안부근 지반 붕괴에 의해 생성된 파도를 말합니다. 쓰나미(津波)의‘tsu’는 항구,‘nami’는 파도를 의미합니다. 이 용어는 일본 산리쿠 연안(1896년 6월)에서 발생한 지진해일 피해가 알려지면서 세계 공통어로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우리나라 원자력발전소는 국내에서 발생 가능한 최대 크기의 지진해일을 평가한 후 그 값에 여유도를 반영하고 그 보다 높은 위치에 발전소를 건설하기 때문에 지진해일에 안전합니다.

  • 지진해일은 해안가로 다가올수록 수심이 얕아지면서 파도의 속도가 줄고 파고는 높아집니다.

    지진해일은 해안가로 다가올수록 수심이 얕아지면서 파도의 속도가 줄고 파고는 높아집니다.

  • 국내 지진해일 발생 현황

    국내 지진해일 발생 현황

  • 세계 주요 지진해일

    세계 주요 지친해일

    발생연도 , 지진규모 , 지역 , 내용 , 1958 , 1960 , 1964 , 1998 , 2004 , 2011 에 대한 표입니다.

    발생연도 지진규모 지역 내용
    1958 7.7 알레스카 대규모 낙석발생
    1960 9.5 칠레 태평양 전역 피해 발생
    1964 9.2 알레스카 미국과 캐나다 서부에 큰 피해 발생
    1998 7.1 파푸아 뉴기니지진에 의한 해저 산사태로 발생
    2004 9.3 인도양 동남아 12개국에 엄청난 피해 발생
    2011 9.0 일본 일본 동북부지역 엄청난 인명 및 재산피해 발생
  • 국내 주요 지진해일

    국내 주요 지진해일 발생연도 , 지진해일명 , 지진규모 , 지진해일 높이 , 1940 , 1964 , 1983 , 1993 에 대한 표 입니다.
    발생연도 지진해일명 지진규모 지진해일 높이
    1940 가무이미사키 7.5 묵호(1.2m), 나진(0.5m)
    1964 니가타 7.5 부산(0.32m), 울산(0.39m)
    1983 아키다 7.7 울진(2.5m), 묵호(3.9m)
    1993 오쿠시리 7.8 울진(2.56m), 묵호(2.03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