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선ㆍ안전
인쇄 아이콘
주소 복사하기 아이콘
원자력안전
안전목표
“방사선 재해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것”

원자력발전은 원자핵의 분열 과정에서 생성되는 방사성물질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안전하게 격리함으로써 안전성을 유지하며,
이를 위해 원자력 안전, 방사선방호 및 기술안전 목표를 설정하고 있습니다.

다음에서 설명

원전 안전성 확보 체계

원자력 시설은 엄격한 품질관리와 점검·검사 그리고 운전·보수요원의 자질 향상, 다중방호 설계를 통해 안전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다중방호설계에는 이상발생방지와 사고 발생, 확대방지 그리고 주변에 방사성물질의 누출방지가 있으며 이상발생방지는 여유있는 안전설계 지진대책등, 자동안전 보호장치, 인터록장치 오조작방지가 있으며 사고발생, 확대방지로는 이상을 조기에 검출하는 장치, 자동적으로 원자로를 정지시키는 장치가 있습니다. 그리고 주변에 방사성물질의 누출방지로는 비사용 노심냉각 장치와 원자로 격납용기가 있습니다.

심층방어 개념

심층방어(Defense in Depth)는 이상상태의 발생을 방지, 이상상태 발생 시 확대 억제, 사고로 진전시 그 영향 최소화 및 주변주민 보호를 위해 사고의 진전 단계마다 적절한 방어체계를 갖추는 것

심층방어

단계, 목표, 핵심수단, 1단계, 2단계, 3단계, 4단계, 5단계에 대한 표 입니다.

단계 목표 핵심수단
1단계
이상 작동 및 고장 예방
보수적인 설계, 고품질 건설 및 운전
2단계
이상 상태의 제어 및 고장 탐지
제어 및 보호계통, 감시 설비
3단계
설계기준 범위내에서 사고제어
공학적 안전 설비 및 사고 관리
4단계
사고의 진행 방지 및 완화를 포함한 중대사고 제어
추가적 안전 설비 및 사고 관리
5단계
방사성 물질의 대량 누출로 인한 방사선 영향 완화
소외 비상 조치
다음에서 설명
원자력발전소는 방사성물질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5개의 방호벽으로 이루어져 잇습니다. 1방호벽은 연료 펠렛, 2방호벽은 연료 피복관, 3방호벽은 원자로 용기, 4방호벽은 원자로 건물 내벽 5방호벽은 원자로건물 외벽으로 5방호벽인 원자로건물 외벽은 1.2m의 철근콘크리트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안전설비
안전관리 역할분담
다음에서 설명
국제원자력기구(IAEA)와 원자력안전위원회(NSSC), 한국수력원자력(KHNP)과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은 안전관리 역할분담을 통해 원전의 안전을 유지합니다. 한수원은 WANO와 기술협력을 하며, IAEA의 안전점검을 위해 자료를 제출하고 KINS의 검사수행 및 추가정보 요청에 따른 정보 및 결과에 대한 이행사항을 제출하며, NSSC에 인허가 및 검사신청 후 인허가 승인을 받습니다. KINS는 NSSC의 기술검토 및 검사 요청에 따라 기술평가 및 검사결과를 제출하며 IAEA와는 국제협력, IAEA와 NSSC는 국제협약 및 협력을 통해 원전의 안전을 유지하고 있습니다.